top of page

로마서 14장, 9월16일 금요일



내가 주 예수 안에서 알고 또 확신하는 것은 이것입니다. 무엇이든지 그 자체로 부정한 것은 없고, 다만 부정하다고 여기는 그 사람에게는 부정한 것입니다. (로마서 14:14)

음식점에서 동료를 기다리다가 오래전 알고 지내던 사람들을 만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미국땅에서는 쉽지 않은 일인데, 그만큼 동선이 겹치기도 하고, 식당이 괜찮으면 가끔 그럴 수 있는 확률이 높아지는 것 같습니다.


예전에 청년들과 함께 국내 성지순례로, 서울을 출발해서 각 기독교유적지를 돌아보고는 남도끝에 보성차밭에 간적이 있습니다. 일본이 오랫동안 차를 제배한다는 계획으로 대규모로 꾸며놓은 차밭은 아름답고 웅장함을 자랑하고 있습니다. 거의 끝 언덕을 올라 전체 전경을 바라보고 있는데 낯익은 목소리가 들려서 돌아보니, 아는 선배가 비슷한 여정으로 교회 청년들과 함께 그 자리에 올랐습니다. 그닥 친하지 않지만, 애써 반가움을 표시하고는 내려오면서, 세상 좁다는 것을 실감합니다. 이것도 확률로 보면 꽤 낮은 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람의 만남의 우연의 확률만 그런게 아니라, 삶은 이런 비슷한 확률적인 우연을 경험하며 살아가는 것 같습니다. 아무리 생각해도 내 존재가 여기에 살고 있는 것, 사람들과 교제하는 것, 그 안에서 만만치 않은 우연들, 우리는 이런 것을 경험하며 삶을 살아내고 있는데 이것도 확률적으로 보면 그리 크지 않은 조건속에서 관계는 이루어집니다. 뭐 길게 이야기 했지만, 간단히 말하면 우리들이 한공간에서 예배하고, 알아가고, 서로를 위해 기도하는 것 자체가 쉽게 만들어진 관계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바울은 교회안에 함께하는 이들이 세워가는 관계에 거룩함이라는 조건을 하나 걸었습니다. 그만큼 귀하다는 의미를 이 관계속에 새겨놓고 싶었던것 같습니다. 사나 죽으나 그리스도를 위해 산다는 이 조건속에 세상을 보는 관점도 특별합니다. 로마교회가 먹는것, 그리고 율법적인 이런저런 조건들때문에 교회안에 갈등이 일어난것 같습니다. 그안에 바울이 던지는 질문은 모두가 그리스도를 위해 사는 것이지 이런 저런 양심때문에 그 목적이 달라지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먹지말아야할 음식을 먹는 것이 문제가 아니라, 그 문제에 몰입한 나머지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하는 것보다 관계를 흐트르는 것이 문제라고 바울은 지적하고 있습니다. “무엇이든지 그 자체로 부정한 것은 없고, 다만 부정하다고 여기는 그 사람에게는 부정한 것입니다.”


돌이켜 보면, 우리들은 엉뚱한것에 힘을 빼고 산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왜냐하면 우리자체가 한 공동체를 꾸리는 것만으로도 엄청난 것을 경험하는 것이니 그 것만으로도 하나님의 은혜의 경이로움을 고백하며 살아도 부족한 시간일 수 있습니다. 그러니 더더욱 무엇이 옳고 그르냐를 구별하며 사는 것은 우리에게 맡겨진 일이 아닐 수 있기때문입니다.


묵상

혹시 엉뚱한것에 몰입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요?


중보기도

  1. 가을이 성큼 다가왔습니다. 환절기에 감기 조심하시기 바랍니다.

  2. 질병가운데있는 분들을 위해서 기도해주세요.

  3. 각속회를 위해서 기도해주세요. 속회모임을 위해, 속장들을 위해


조회수 55회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