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YEOLIN CHURCH

로고4.png

© 2025 by Yeolin Church.

  • Instagram
  • Facebook
  • Youtube

berkeleykumc@gmail.com
510-652-4155

451 Moraga Way
Orinda, CA 94563

로고4.png
Contact Us

August 3 Sunday Sermon Manuscript 8월3일 주일설교

  • 작성자 사진: Bkumc 열린교회
    Bkumc 열린교회
  • 8월 1일
  • 14분 분량
ree

Luke 12:13–21

Where Are You Looking?


  1. Today’s passage can feel burdensome depending on the reader’s perspective. Whether Luke’s intention was deliberate or not, Jesus consistently teaches that wealth can be an obstacle to following God.

  2. In Luke 6:24, Jesus says,

“But woe to you who are rich, for you have already received your comfort.”

  1. In Luke 14, while telling the parable of the great banquet and teaching about the cost of discipleship, He concludes with,

“In the same way, those of you who do not give up everything you have cannot be my disciples” (14:33).

  1. In Luke 18, there is the scene of a rich ruler who wanted to obtain eternal life but left in sorrow because he could not give up his wealth. Jesus says,

“Indeed, it is easier for a camel to go through the eye of a needle than for someone who is rich to enter the kingdom of God” (18:25).

  1. In light of Jesus’ consistent teaching, we might feel troubled and wonder, Should I give up being rich? This kind of question can lead to the Christian ethical debate known as the controversy between the “prosperity gospel” and the “theology of poverty.”

  2. First of all, we need to define at what point someone becomes rich. Who do you think the “rich” are? Do any of you here consider yourselves rich?

  3. Material abundance is, in fact, a relative concept, so it is hard to find someone who is truly satisfied and calls themselves rich.

  4. Do you know what the income of the top 1% in the world is? It is $172,000 a year. How about the top 5%? It is $60,000 a year. And the top 10%? $35,000 a year. By this measure, everyone here today belongs to the top 10% of income earners in the world.

  5. Then what if we look only at the United States? The top 1% must earn at least $794,000, the top 5% must earn $352,000, and the top 10% must earn $234,769 annually.

  6. The difference is significant, isn’t it? Just as there is no absolute standard for who is considered rich, someone who does not know the art of contentment will always feel poor, while someone who can be satisfied with little can think of themselves as rich.

  7. So, if you feel uncomfortable hearing Luke’s message, perhaps it is because you think of yourself as rich, or perhaps you mistakenly think such examples always end with a call to give more to the church.

  8. As I often say, we must always strive to find the meaning hidden in the text. The reason Jesus used parables is that such figurative expressions are powerful, long-remembered, and effective for teaching.

  9. Jesus told this parable not merely to warn against being rich but to ask, “Where is your attention fixed as you live your life?”

  10. That is why, in today’s passage, Jesus first uses the phrase “life does not consist” to indicate that material concerns and judgments have nothing to do with the gospel He proclaims. More precisely, He has no interest in such things. The gospel is deeply connected to having concern for human life.

  11. In today’s passage, “someone in the crowd” comes to Jesus, bringing up a personal problem that has been troubling him.

  12. Here, the introduction of this anonymous person makes us wonder: Are we perhaps like him?

  13. This person’s attention was completely absorbed in a concern that shook the roots of his life but was totally unrelated to the direction of the gospel Jesus was teaching — it was an expectation for a solution that served only himself.

  14. I have said before that there are stages in the life of faith. In the beginning, people expect things similar to the traits of other religions — if you believe in Jesus, life will improve, you will succeed, you will gain more, or you will be able to secure a desired position. This is a kind of prosperity-driven or transactional faith.

  15. Such prosperity-driven faith fades away through the process of maturity. You begin to care not just for yourself but for people close to you, and gradually even for those who have nothing to do with you.

  16. In the past, there was an incident when the American merchant ship General Sherman sailed up the Taedong River toward Pyongyang, only to be attacked by Korean forces. The ship caught fire. Missionary Robert J. Thomas, who had boarded in China to bring the gospel to Korea, was among those on the ship. As the ship burned, he was martyred, and the Bibles he carried were scattered along the riverbank.

  17. A soldier named Bak Chun-gwon picked up one of these Bibles. When he looked at it, he thought it would be perfect for patching the paper windows of his house. So he took it home and pasted the pages over the holes in his window paper and on the walls like wallpaper.

  18. Day and night, living in a house covered with Bible pages, he began to read them. Through this, Bak Chun-gwon came to know the gospel. Twenty years later, when Seo Sang-ryun brought Korean Bibles from China, Bak’s house became a home church where believers gathered.

  19. Like a story from a novel, Bak Chun-gwon’s journey was a transformation from a persecutor to a Bible reader, and then to a believer in Jesus. Early Korean Christianity was not spread by prosperity preaching but was birthed in the history of martyrdom.

  20. Later, in the 1960s and 70s, with the momentum of Korea’s economic growth, churches began to spread a prosperity-centered faith and poured their energy into drawing crowds.

  21. Outwardly, this looked as though the church was keeping pace with the times, but in truth, mature faith had become shallow.

  22. The reason I share this story is to show that if faith is led in the wrong direction, even a mature church can quickly become lightweight, selfish, and spiritually base.

  23. One must set the right direction for faith to mature. You must know what Jesus cares about if you are to live like Jesus.

  24. But the man in today’s passage asked Jesus not about his own existential problem, nor about a serious matter of faith, but about his dissatisfaction with his inheritance share from his brother.

  25. Most often, sibling relationships become strained when they inherit their parents’ estate. Each calculates what they believe is their rightful share, so it is hard to reach a satisfying agreement.

  26. In Korea, too, when large new cities are developed, landowners receive compensation. A prime example is the new city of Dongtan. I once visited Dongtan years ago when friends of mine had parents living there. They told me it was next to Suwon, so I thought there might be something there — but it was nothing but farmland.

  27. That farmland has now transformed into a great city, and surely something similar happened to the owners of those fields.

  28. Rev. Hong Sam-yeol, who grew up there and whose father pastored there for many years, told me that in his village, every family except one saw sibling relationships break down over the division of land compensation.

  29. This shows that the nature of wealth is more insidious than we think. Depending on each person’s desire, it generates discomfort and carries an unhealthy energy.

  30. But can anyone ignore wealth in this era? Of course not — it is important. So the question always remains: Where is the appropriate and fitting limit?

  31. The earlier-mentioned debate between prosperity theology and the theology of poverty comes from such questions.

  32. Prosperity theology views wealth positively. John Wesley himself said to “earn all you can, give all you can,” which shows he leaned toward the prosperity view.

  33. The idea is that one should strive to possess as much wealth as possible and use it positively.

  34. I personally sometimes wish I had more wealth. There are so many places I want to spend it. In most cases, it is not for myself but to help those whose situations I learn about, especially those who have no one else to talk to and who end up speaking to the pastor. Perhaps that is why I have not been blessed with material abundance.

  35. The theology of poverty sees wealth as the root of evil. It considers not possessing wealth to be a virtue of a good Christian.

  36. I have heard older pastors say that even when they had no rice, they would boil water in the kitchen stove at mealtime so that smoke would rise from the chimney. It was a way of not showing their poverty — keeping a certain dignity — and also a sign of how poor they really were. As you know, in those days everyone lived in hardship, but the church created an image that material sacrifice was the mark of a true Christian.

  37. Neither prosperity theology nor poverty theology can be declared absolutely right or wrong. These are not the core truths of Christianity but questions about how to understand wealth and whether striving to earn money with all one’s might is the right Christian attitude.

  38. We all know the character of Ebenezer Scrooge from A Christmas Carol — one who earns money relentlessly but has no concern for human life. The novel shows his dramatic repentance, but such repentance is rare in real life; the story is meant to teach a lesson.

  39. What today’s passage speaks about is not whether wealth is good or bad. It asks: Beyond that, how much are we devoting our lives to what is truly important — to our relationship with God, which is life itself?

  40. So in verse 15, “Life does not consist in an abundance of possessions,” and in verse 21, “Not being rich toward God,” are Jesus’ way of asking, Where is your attention fixed today? This is the essential question the text is pointing to, and it is the attitude toward life that believers in Jesus must reflect on deeply.

  41. From verse 16, Jesus tells a parable about a rich man who had a good harvest and was concerned about where to store it.

  42. After deliberating, he decided to tear down his barns and build bigger ones. He put all his grain and goods there and said to his soul, “You have plenty of grain laid up for many years. Take life easy; eat, drink, and be merry” (v.19).

  43. The word for “soul” here is pneuma. In the New Testament, pneuma is often used to refer to the Holy Spirit, yet this rich man uses it to speak to his own soul.

  44. This shows that, at the center of his being, he considered himself almost like a god.

  45. In Korean, the phrase “take life easy; eat, drink, and be merry” is translated “마음 놓고 즐겨라,” but in Greek, the word used is tachu (ταχύ), which means “easily” or “without trouble.”

  46. This means he lived a life concerned only with himself, with no worries about others — living easily and without care for anyone else.

  47. Those who live without looking at others, focused only on themselves, lack empathy and have no understanding of altruism. This rich man was such a person — and he thought of himself as divine.

  48. To such a man, Jesus says something only God can say: “You fool! This very night your soul will be demanded from you. Then who will get what you have prepared for yourself?”

  49. For a man who thought only of himself and considered himself godlike, the most decisive problem was that he did not know when his last day would come.

  50. Again, the word for “soul” is pneuma, and Jesus says it will be demanded back. This means the soul is entrusted to us; it is not ours. Death marks the end of the body, but the soul returns to God.

  51. Jesus ends with, “This is how it will be with whoever stores up things for themselves but is not rich toward God.”

  52. What does “not rich toward God” mean? Is it just about attention and priorities? In Greek, the phrase “toward God” uses the preposition pros, which indicates direction — toward a place, time, situation, or purpose.

  53. The foolish rich man’s place, time, situation, and purpose were all directed toward wealth and never toward God.

  54. In such a world, Jesus speaks of “having concern for human life” and “being rich toward God.” These two statements still speak deeply to us today: Have concern for human life, and strive to be rich toward God. Then we will not be like the foolish rich man but will join in what Jesus cares about — the kingdom of God, the gospel movement, and the sharing of this good news.


    누가복음 12:13-21

    어디를 보고 있는가?

     

    1.     오늘 읽은 본문은 읽는 입장에 따라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누가복음 의도적인지는 몰라도, 예수님은 일관되게 “부”가 하나님을 따르는 데 장애가 된다고 가르치고 있습니다

    2.     누가복음 6:24에서 예수님은 “그러나 너희, 부요한 사람들은 화가 있다. 너희가 너희의 위안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라고 말씀하시고,

    3.     누가복음 14장에서는 큰잔치의 비유와 제자가 되는 법에 대해서 이야기하시면서 마지막에  “누구든지 자기 소유를 다 버리지 아니하면 내 제자가 될 수 없다”(14:33)고 말씀 하십니다.

    4.     또 18장에서는 한 부자 관리가 영생을 얻고자 했지만 재물을 포기하지 못해 근심하며 떠나는 장면이 나오고, 예수님은 “부자가 하나님의 나라에 들어가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 낙타가 바늘귀로 들어가는 것이 더 쉽다”고 말씀하십니다 (18:25).

    5.     이 일관된 예수님의 가르침속에서 우리들은 근심하기도 하고, 부자를 포기해야 하나?라는 생각을 할 수 있습니다. 이런 고민이 “청부론”과 “청빈론”의 논란을 일으키는 기독교 윤리적인 질문을 만들어 내기도 합니다.

    6.     우선, 우리는 부자가 어디부터 부자인지를 정의해야 할 것 같습니다. 여러분들이 생각하는 부자는 누구를 가리키는 것 같습니까? 여러분들이 생각할 때 스스로를 부자라고 생각하는 분들이 있으신 가요?

    7.     물질적인 풍요는 사실, 상대적인 개념이기때문에, 스스로 만족해 하는 부자를 찾아보기는 힘듭니다.

    8.     세계상위 1% 소득이 얼마라고 생각하십니까? 1년에 $172,000 입니다. 상위5 %의 소득은 얼마일까요? 1년에 $60,000입니다. 그러면 상위 10%는 $35,000입니다. 이런 기준에서 보면 여기계신 모든 분들은 전세계 상위 10%의 소득을 가지고 있는 분들입니다.

    9.     그러면 미국만 보면 어떨까요? 상위 1%은 $794,000이상이어야 하고, 5%는 $352,000 이고 상위 10%는 $234,769를 벌어야 한다고 합니다.

    10.   상대적으로 큰 차이죠? 이렇듯 우리들이 이야기하는 부자는 절대적인 기준이 없습니다. 만족하는 법을 모르는 사람에게는 늘 가난할 것이고, 작은 것에 만족할 수 있다면  스스로 부자라고 여길 수 있겠죠.

    11.   그러니 혹시 누가복음 말씀을 들이시면서 불편을 느낀다면 아마, 그분은 자신을 부자라고 여기거나 또는 단지 이런 예화의 결말이 교회헌금과 연결된다는 착각을 가지고 있으시면 그럴 수 있습니다.

     

    12.   늘 말씀드리는 것이지만, 우리는 늘 본문안에 숨겨진 의미를 찾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예수님이 비유로 말씀하신 이유도 이런 비유적인 표현이 강력하면서도 오랫동안 기억에 남고, 가르치는데 있어서 효과적이기 때문입니다.

    13.   예수님은 부자에 대해서 경고하기 위해 이런 비유를 말씀하신 것이 아니라, “어디에 관심을 두고 사는가?”에 대한 질문이라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그래서 예수님은 오늘 본문에서 “사람의 생명에 대한 관심”이라는 문장을 처음 사용하시면서, 근본적으로 물질에 대한 관심과 판단은 예수님이 전하는 복음과는 상관이 없는 것이고, 정확히는 그런 것에는 관심이 없고, 복음은 “사람의 생명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는 것”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이야기하고 계신 것입니다.

     

    14.   오늘 본문에 등장하는 “무리가운데 어떤 사람”은 예수님을 쫓아다니면서 마침내 자신을 괴롭히는 문제를 꺼내 들고는 예수님께 질문하면서 등장합니다.

    15.   여기서 우리는 어떤 사람이라고 소개하는 본문속에 이 익명의 인물의 행위는 마치 우리도 이와 같은 사람과 비슷하지 않을까? 라는 생각에 잠기게 합니다.

    16.   이 어떤 사람은 자신을 삶의 뿌리 채 흔드는 관심이  예수님이 가르치고 이끄시는  복음의 방향과는 전혀 다른 방향, 즉 자신만을 위한 문제 해결을 기대한 사람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17.   신앙생활에 단계가 있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처음에는 마치 예수를 믿으면, 다른 종교적인 속성과 비슷한 면을 기대합니다. 뭔가 삶이 더 좋아진다 거나, 성공한다 거나, 더 많은 이득을 얻거나, 원하는 자리를 차지할 수 있는 어떤 기복적인 신앙을 가지게 됩니다.

    18.   이런 기복적 신앙은 성숙해지는 과정을 거쳐서 사라지고, 자기자신이 아닌 나와 가까운 사람, 그리고 점점 나와 상관없는 사람 에게까지 그들의 삶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됩니다.

    19.   예전에 미국의 상선인 제너럴 셔먼호가 대동강을 거슬러 평양으로 가다가 조선군의 공격을 받고는 배가 불에 타게 됩니다. 그때 토마스 선교사가 중국에서 조선으로 선교하기 위해 이 배에 타고 있었는데 배가 불이 타면서 순교하게 되고 그가 남긴 성경책에 대동강변에 뿌려지게 됩니다.

    20.   그때 군졸이었던 박춘권이라는 분이 이 성경책을 들춰보니 집에 문창호지에 붙이면 알맞을 것 같아 집에 가져가 풀로 구멍 난 창호지와 벽에 벽지처럼 바르게 됩니다.

    21.   자나깨나 늘 집에서 성경을 읽다가 박춘권이라는 복음을 알게 됩니다. 20년이 지난후에 서상륜이라는 분이 중국에서 한글성경책을 가져왔을 때  박춘권의 집은 예수믿는 사람들이 모이는 가정교회가 됩니다.

    22.   소설 같은 이야기에 박춘권의 여정은 박해자에서 성경을 읽은 자 그리고 점점 예수 믿는 자로 변화됩니다. 조선초기 기독교는 처음에 기복신앙으로 전파된 것이 아니라 순교의 역사로 시작되었습니다.

    23.   나중에 196-70년대에 교회는 경제성장의 분위기와 함께 어느새 기복적인 신앙을 전파하고 교회안에 사람들을 끌어 모으는데 힘을 씁니다.

    24.   시대에 맞게 교회가 발을 맞춘 것처럼 보이지만, 냉정하게 보면 성숙했던 신앙이 점점 천박해진 것입니다.

    25.   왜 이 이야기를 드리냐 면, 잘못된 방향으로 신앙을 이끌게 되면 성숙한 교회도 순식간에 가볍게 되고, 자기만 아는 이기적인 하층 적인 신앙을 갖게 된다는 것입니다.

    26.   방향을 잘 정해야 신앙이 성숙해집니다. 예수님이 관심가지는 것을 잘 알아야 예수처럼 살수 있다는 것입니다.

     

    27.   그런데 오늘 본문에 등장하는 무리가운데 어떤 사람은 자신의 존재의 문제도 아니고, 심각한 신앙적인 문제도 아닌, 형제들 과의 재산분배 문제에 대한 불편함을 예수님께 물어보고 있습니다.

    28.   대부분, 형제들과의 우애가 불편해지는 이유는 부모의 유산을 물려받을 때 일어난다고 합니다. 각자 자기 몫이라는 것을 계산해놓고 있으니 만족스러운 합의가 일어나질 않습니다.

    29.   한국에도 보면 큰 신도시를 세울 때 토지보상이 주어지죠. 대표적인 곳이 동탄 신도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제가 예전에 친구의 부모들이 살고 있는 동탄이라는 곳을 가본적이 있습니다. 수원 옆에 있다고 해서 그래도 뭐가 있겠지 싶었는데 논밭만 있는 깡 촌 시골이었습니다.

    30.   그런 동네가 지금은 천지가 개벽한 것처럼 대단한 도시로 바뀌었으니 그 논밭의 소유자들에게도 이런 비슷한 일이 일어났을 것입니다.

    31.   홍삼열 목사님이 바로 그 동네가 고향이고, 아버지가 거기서 목회를 오래하셨는데, 제가 듣기로는 한가정만 빼고 모든 가정이 이 토지보상에 대한 분배로 형제들의 우애가 갈라졌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32.   이런 것을 보면, 물질속성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꽤 음흉하고, 각자의 욕망에 따라 불편함을 만들어내는 그리 건강하지 않은 에너지를 가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33.   하지만, 시대가 어디 물질을 무시하고 살수 있는 시대입니까? 중요하죠 그러니 어디 까지가 적당하고 알맞을까?가 늘 고민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34.   앞서 말씀드린 청부론과 청빈론이 바로 이런 고민들로 인해 만들어진  질문들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청부론은 물질을 긍정적으로 봅니다. 존웨슬리 목사님도 최대한 많이 벌고, 최대한 많이 쓰라고 이야기하시는 것을 봐서는 청부론에 가깝다고 볼 수 있습니다.

    35.   최대한 물질을 소유하려고 노력하고 그 물질을 긍정적으로 사용하면 좋다는 것이죠.

    36.   저도 개인적으로 물질이 많이 있기를 바랄 때가 있습니다. 쓰고 싶은 데가 너무 많습니다. 대부분은 저를 위한 것보다 이런 저런 이유로 알게 되는 사정들 그리고 어디 이야기할 때 없으니 목사에게 이야기하는 분들 그런 분들을 도와주고 싶은 마음이 너무 큽니다. 아마 그래서 저에게 물질의 축복은 없는 것 같습니다.

    37.   청빈론은 물질을 악의 근원으로 생각합니다. 근본적으로 물질을 소유하지 않는 것이 훌륭한 기독교인의 덕목으로 생각합니다.

    38.   예전에 목회하던 목사님들 이야기를 들어보면 쌀이 없어도 아궁이에 물을 끓여서라도 밥 때가 되면 불을 지펴서 연기가 나게 했다고 합니다. 가난한 것을 티 내지 않고 어떤 품위를 지켰다는 의미도 있고, 그만큼 가난하게 살았다는 이야기를 하는 것으로 느껴집니다. 잘 아시겠지만, 그 시절은 누구나 힘들고 어려웠지만, 교회는 물질적 희생이 곧 바른 기독교인이라는 이미지를 만들어냈습니다.

    39.   청부론, 청빈론 어느것이 옳으냐 그르냐를 판단할 수는 없습니다. 기독교의 본질적인 이야기들은 아니고, 물질을 어떻게 이해하고, 돈을 악착같이 버는 것이 기독교인으로 바른 자세일까?라는 물음들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40.   우리가 잘 아는 크리스마스 캐럴에 등장하는 스크루지의 캐릭터가 돈은 악착같이 벌지만, 사람의 생명에는 관심이 없는 존재로 등장합니다. 소설은 극적으로 스크루지가 회심하여 돌아서지만, 그런 회심이 쉽지 않으니 소설을 통해 사람들에게 교훈을 주고 있다는 것을 우리는 잘 알고 있습니다.

     

    41.   오늘 본문에서 이야기하는 것도, 물질이 좋은가 나쁜가?의 이야기가 아닙니다. 과연 그것 외에 더 중요한, 즉 우리에게 생명과도 같은 하나님과의 관계에 얼마만큼 힘을 쏟고 사느냐 의 문제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는 것입니다.

    42.   그러니, 15절에서 이야기하는 “사람의 생명이 거기에 달려있지 않다” 그리고 21절에 등장하는 “하나님에 대하여 부요하지 못하다”라는 예수님의 말씀을 통해 우리들은 과연 지금 우리는 어디를 향해 관심을 가지고 살고 있는가?를 묻는 것이 이 본문이 가리키는 본질적인 물음이고, 우리들이 깊이 생각해야 할 예수 믿는 사람들이 해야 할 삶의 자세입니다.

    43.   16절부터 예수님이 말씀하시는 한 부자에 대한 비유를 보면 많은 소출을 얻은 부자가, 어디다 쌓아 두어야 하는지를 고민하고 있습니다.

    44.   고민 끝에 생각해 낸 것이 지금의 곳간을 헐어내고 더 큰 곳간을 지어야겠다 고 결심합니다. 그리고 자기 곡식과 물건들을 다 거기에다가 쌓아 두고는 자신의 영혼에 이렇게 말합니다. 19절에 “영혼아, 여러 해 동안 쓸, 많은 물건을 쌓아 두었으니, 너는 마음 놓고, 먹고 마시고 즐겨라.’

    45.   여기서 영혼은 “푸뉴마”라는 단어를 사용했습니다. 원래 신약성경에서 푸뉴마는 “성령”을 이야기할 때 사용하는 단어인데, 이 부자가 자기의 영혼에게 이 푸뉴마라는 단어를 사용해서 불렀다는 것입니다.

    46.   이 말은 부자인 자신의 중심에는 자기 자신이 신처럼 존재했다는 의미입니다.

    47.   그리고 한글로는 마음 놓고, 즐겨라! 라고 번역했지만, ταχύ (tachu, 타휘)라는 단어를 사용했는데 쉽게 여기다.라는 뜻입니다. 그러니 삶이 자기 자신 말고는 고민도 없고 걱정도 없는, 즉 다른 사람에게는 어떠한 관심을 가지지 않고, 쉽게 삶을 사는 사람들이라는 의미가 담겨져 있습니다.

    48.   다른 사람 보지 않고, 자기만 보고 사는 사람들은 공감능력, 이타심에 대한 이해도 없고 관심도 없는 사람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 부자가 그렇다는 것입니다. 거기에 자기 자신을 신처럼 생각했던 사람이 바로 이 부자였다는 것입니다.

    49.   이런 사람을 향해 예수님이 “하나님 만이 할 수 있는 이야기를 합니다.” ‘어리석은 사람아, 오늘밤에 네 영혼을 네게서 도로 찾을 것이다. 그러면 네가 장만한 것들이 누구의 것이 되겠느냐?’

    50.   자기만을 생각하고, 스스로를 신과같이 여기는 이 사람에게 가장 결정적인 문제는 자신의 마지막날이 언제인지 모른다는 것입니다.

    51.   여기서 사용한 영혼이라는 단어도 “푸뉴마”입니다. 그런데 예수님은 이것을 도로 찾아간다고 말씀하십니다. 영혼은 맡겨진 것이지 자기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죽음은 곧 육신은 종말을 의미하지만, 영혼은 다시 하나님께로 돌아간다는 뜻이겠죠.

    52.   이런 이야기 끝에 예수님이 “자기를 위해서는 재물을 쌓아 두면서도, 하나님께 대하여는 부요하지 못한 사람은 이와 같다.”는 말씀으로 말씀을 마무리합니다.

    53.   “하나님께 부요하지 못하다는 표현은 무슨 뜻일까? 단순히 관심, 우선순위에 대한 이야기일까요? 여기서 하나님께 라는 표현중에 헬라어에서 프로스라는 단어를 사용합니다. 이 단어는 방향을 나타내는 전치사로 사용되어지는데, 장소, 시간, 상황, 목적의 방향을 물을 때 사용됩니다. 이 어리석은 부자는 장소, 시간, 상황, 목적이 모두 물질에만 향하였을 뿐, 하나님께 로는 향하지 못했다는 의미라고 볼 수 있습니다.

    54.   오늘 본문은 예수님 시대에 지금이나 똑같이 경험되어지는 이야기들입니다. 물질이 많으면 오늘날 부자라고 이야기합니다. 그런데 오늘날도 착한 부자, 나누는 부자, 자기를 희생하는 부자를 찾기는 어렵습니다. 지금 세계에서 제일 돈이 많다고 이야기하는 분은 어떻게 하면 돈을 더 많이 벌것인가에 대해서만 관심을 갖습니다.

    55.   예수님 시대에 권력자나 지금 힘을 가진 권력자나 똑같이 그들은 자신이 가진 힘으로 이것이 정치적인던 물질이던 자기 자신을 위해서만 사용하지 그것을 헐어내서 누군가의 생명을 살리는 것에는 관심이 없습니다.

    56.   예수님때나 지금이나 똑같습니다. 그런 시대에 예수님이 지금 “사람의 생명에 관심”을 두고 사는 것, 그리고 “하나님에 대해여 부요하게 하는 것”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57.   이 두가지 문장은 지금도 우리들에게 깊이 전해집니다. 사람의 생명에 관심을 두는 것, 그리고 하나님에 대해여 부요하게 살려고 노력하는것! 굳이 설명하지 않아도 이게 어떤 삶인지 잘 아실것입니다.

    58.   사랑하는 열린교회 성도여러분! 우리에게 주어진 이 두 문장! 사람의 생명에 관심을 두고 우리들이 무엇을 해야할지를 찾아가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하나님에 대해여 부요하게 사는 것을 우리들의 삶의 방향에 온전히 세우시기를 바랍니다. 그러면 우리는 어리석은 부자가 아니라, 예수님이 관심을 갖는것, 즉 하나님 나라! 복음운동, 이 기쁜소실에 함께 동참하게 될줄 믿습니다.

 

댓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