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mans 2:1–16, Thursday, September 4, 2025"로마서 2 : 1~16, 2025.09.04 (목)
- Bkumc 열린교회
- 7일 전
- 4분 분량

God “will repay each person according to what they have done.” (Romans 2:6, NRSV)
The Law gives a standard so that the lives of those who know God do not stray too far.But those who manage to keep it often become preoccupied with whether they are obeying it or not — and lose interest in asking why God gave the Law in the first place.Instead of seeking God’s heart behind the Law, they become used to checking whether others are keeping it and pointing out their failures.This is what we call legalism.
For Paul, the gospel was God’s grace that could reach beyond the Law — even to the Gentiles.In Paul’s judgment, in such a situation the Law was no longer necessary.Yet false teachers — likely Jewish legalists — constantly insisted that it was still important to keep the Law.
For Jews who had been taught the Law all their lives, Paul’s teaching was radical.How could he say that the Law they had held onto all their lives was not what made them God’s people, and that righteousness was received by faith instead of law-keeping?It must have been very hard to accept.
But did all Jews think the same way?Some of them may have felt the Law to be a heavy burden.For those whose lives were busy and weary, keeping the Law and living a holy life may have felt like a luxury(!).Over time, some may have given up on ever hearing that they were righteous before God.And when the legalists who were proud of their obedience judged them — “You will be punished by God because you do not keep the Law!” — such words likely did not inspire them to return to God.Instead, those words must have pierced them like a dagger, making them feel cursed and abandoned:“I must be someone God has rejected!”
And yet, the gospel of Jesus proclaims that even such people can be saved and made righteous.This is the direction of Jesus’ teaching throughout the Gospels.Word spread that a rabbi was teaching people something different from the other rabbis and legalists, and people flocked to him.It was good news — joyful news!To those who had given up on their spiritual lives, Jesus’ words said that God still cared about them, that God still loved them.And when the legalists were silenced in his presence, hope was rekindled.
Paul himself was one of those who had tried to protect the Law by persecuting the followers of Jesus — until he met Jesus himself.After that encounter, Paul chose a different way: the way of grace, not of the Law.He preached that the gospel of Jesus fulfilled the Law, and when he preached to the Gentiles he did not require them to follow the Law.Why?Because the heart of the gospel Paul proclaimed was this: that God, through Jesus Christ, was carrying out a great work to save people from every nation — and that righteousness is by faith.
The church, then, is not just a place for fellowship but a space where God’s love is made visible — showing how far and wide it reaches.It is a place where everyone can come together without barriers.Paul wrote to the church in Rome to tell them that God is just and impartial, and that even if a person does not know the Law, if they have lived according to their conscience (here meaning the common moral sense with which people try to live), that is enough.It was radical.And it is because of this that the gospel has been passed down to us as well.
Meditation
How far do you think God’s love reaches?
Intercessory Prayer
Please pray for the upcoming Mission Dinner this Saturday — that it may be filled with grace and joy.
Please pray for all pastors and church leaders.
하나님께서는 “각 사람에게 그가 한 대로 갚아 주실 것입니다.”(로마서 2:6)
율법은 하나님을 아는 사람의 삶이 크게 벗어나지 않는 기준을 주지만, 이것을 지켜내는 사람은 지키느냐 안지키느냐에만 관심을 갖게 합니다. 왜 이런 율법이 주어지고 정해졌는가?에 대해서 관심이 없고, 자기 자신이 지키는 것을 넘어서서 다른사람은 지키는지를 살피고 그것을 지적하는 것에 익숙해져갑니다. 이런것을 율법주의자라고 이야기합니다.
바울에게 있어서 복음은 이런 율법을 넘어선 이방인들에게까지 전할 수 있는 하나님의 은혜로 여겼습니다. 율법은 이런 상황에서 필요하지 않다는게 바울의 판단입니다. 이런 바울의 노력에 거짓교사들, 이들은 아마 유대율법주의자들일것 같은데, 이들은 끊임없이 율법을 지키는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합니다.
유대인들에게 있어서 평생 율법에 대한 교육을 받은 이들에게 바울의 가르침은 파격적입니다. 평생을 붙들고 살아온 율법이 하나님의 은혜앞에서는 중요하지 않다고 하니, 율법을 지키는 것으로 하나님의 사람임을 증명하는 것이 아니라 믿음으로 의로움을 입는다는 것을 쉽게 용납할 수 없었을 것입니다.
그러면 모든 유대인들이 그렇게 생각했을까? 유대인들에게도 율법은 무거운 짐으로 느껴졌을지 모릅니다. 삶이 분주하고 고단한 자들에게 율법을 지키고 거룩하게 살아가는 것은 꽤 사치(?!)스럽게 느껴졌을지도 모르고, 율법가 멀리 떨어진 삶을 오래하다보니 하나님께 의롭다는 이야기를 듣기를 포기한 자들이 있었을 것입니다. 그리고 곁에서 율법을 잘 지켜낸다고 자부하는 율법주의자들이 이들을 향해 판단했을 것입니다. "율법을 지키지 않으니 당신은 하나님으로 부터 벌을 받을 것이오!" 애써 무시하지만, 늘 마음에 남았을 이 비수같은 문장은 좋은 자극이 되지 못하고 오히려 스스로를 포기하게 하는 무서운 저주처럼 느껴졌을 것입니다. "나는 하나님으로 부터 버림 받은 자다!"
그런데, 예수님의 복음이 그럼에도 불구하고 구원받을 수있고, 의롭게 될수 있다는 것입니다. 복음서에 등장하는 예수님의 가르침의 방향이 그렇습니다. 들려오는 소식에 왠 랍비가 다른 랍비나 율법주의자들이 가르치는 것과 다른 이야기를 사람들에게 가르쳤고, 그 소식을 들은 자들이 그분께 몰려갔다고 합니다. 듣자하니 너무 기쁜소식입니다. 자포자기한 내 영적인 삶에 하나님은 여전히 관심이 있으시고 나를 사랑하신다며 전하시는 말씀에 다른 율법주의자들이 입을 다물고 물러갔다는 이야기에 호기심이 갑니다.
바울은 아마 이런 상황에서 율법을 수호하기 위해 예수를 따르는 자들을 잡으러 다니는 일을 하다 예수를 만났습니다. 예수를 만나서 그가 정한 길은 율법이 아니라, 은혜이다! 였습니다. 예수님의 복음은 율법을 완성하는 이야기라는 것을 전했고, 이방인들에게도 복음을 전했을때 율법을 소개하지도 않았습니다. 왜냐하면, 믿음으로 의롭게됨 즉 하나님은 끊임없이 모든 민족을 구원하시기 위해 이 엄청난 일을 벌이셨다는 것을 전하는 것이 바울이 전하는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의 핵심이기때문입니다.
교회는 단순히 친교하는 곳이 아니라, 세상을 향해 하나님의 사랑이 어디까지 전해지고 있는 지를 보여주는 자리입니다. 모든 사람들이 경계없이 함께할 수 있는 곳, 그곳이 교회입니다. 바울은 로마교회를 향해 하나님의 공평하심과 의로우심을 전하며 율법을 몰라도, 스스로 양심에 따라(여기서 말하는 양심은 세상을 스스로 이해하며 살아온 보통의 마음입니다.)살아왔다면 그것으로 충분하다고 이야기합니다. 파격적입니다. 그리고 이것을 힘입어 우리에게까지 복음이 전해진것입니다.
묵상
하나님의 사랑은 어디까지 미친다고 생각하세요?
중보기도
이번주 토요일에 선교디너가 있어요! 선교디너가 은혜롭게 잘 진행되도록 기도해주세요.
사역자들을 위해서 기도해주세요.
댓글